달력

3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최근까지 아이폰에서 NFC에 관한 소문 중 관심을 끄는 2가지가 있다.


첫째, 아이폰뿐만 아니라 맥 컴퓨터도 NFC를 지원하다. 아이폰을 맥 옆에 놓으면 NFC로 서로 정보를 주고받아서 아이폰을 소지한 사람의 컴퓨팅 환경으로 만들주는 것이다. 공공장소나 친구의 컴퓨터를 잠시 빌려 사용할 때 내 컴퓨터 환경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될거 같다. (참고: 아이폰5 NFC 지원한다?)


둘째, Apple과 Gemalto가 제휴하여 아이폰 SIM과 통합한다. 콘서트나 스포츠, 박물관 티켓을 발급하는 시나리오가 될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동통신사를 경유하지 않고 애플이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참고: Apple: A love letter)

 

출처: http://www.flickr.com/photos/respres/4257762730/

두번째 사례를 보면 결제에 관한 부문은 없다. 워낙 민감하고 사회적인 인프라와 협조 체계를 이루어야 하는 부분이므로 처음에는 제외될 수 있을거 같다. 하지만 차후에 결제기관과 제휴하여 진행하는 것은 문제없으리라 보인다. 이미 비자나 마스터카드는 PayWave나 PayPass와 같은 NFC에 대응할 수 있는 단말기나 스펙이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환경에서 이동통신사의 역할이 전혀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애플이 NFC로 티켓발급 유사 서비스를 한다고 하여도 KT나 SKT나 모두 무시될 수 있다. 


이동통신사는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과거의 지위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통신사가 보유하고 있는 USIM이나 NFC 칩을 가지고 결제나 티켓같은 서비스의 주체가 되고자 하는 희망이 있으나 그것마저도 위태로워 보인다. USIM이나 NFC관련해서는 표준보다도 각 통신사의 스펙과 환경에 너무 많은 영향을 받는다. 폐쇄적인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USIM이나 NFC관련 API가 오픈소스로 나아가고 있는데 SKT나 KT는 먼저 만들었지만 서로 다른 API를 사용한다.

한국에서 먼저 만들었어도 안드로이드 오픈소스로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또다시 한국만의 스펙으로 고립되고 있다. 그런것 때문에 우월적 지위를 가질 수 도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것이 방해가 되어 성장이 안되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그 사이 애플이나 구글은 이통사를 통하지 않는 개방형으로 서서히 시장을 바꾸어 버릴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애플은 그렇다치고, 구글 안드로이드 폰에서는 이동통신사가 NFC와 관련하여 모든 우선권을 쥐고 있을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구글 이야기는 다음 글에서...

(2편: 이동통신사에게 NFC는 약이 될까 독이 될까? )
 

Posted by REDNAKTA
|
아이폰의 웹어플리케이션은 어떻게 생겼을까? 그냥 웹페이지를 말하는건가?

아래 블로그에서 아이폰의 웹어플리케이션으로 예상되는 샘플이 소개되어있다.
http://onetripblog.blogspot.com/

한마디로 정리해보면, 아이폰 화면에 최적화된 웹페이지라고 볼 수 있겠다. 물론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수행되기때문에 HTML, CSS, JavaScript 등이 표준규격으로 지원되고 AJAX또한 지원될테니 웹페이지란 웹어플리케이션,AJAX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겠지....?

물론 휴대폰에서 웹규격으로  웹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한 가치는 있어보인다. PC가 아닌 모바일기기의 관점에서는 보완되어야 할것이 더 많이 있지 않을까 한다.

단지 아이폰 화면크기에 맞는 웹어플리케이션이라면 접속할때마다 다운로드되는 HTML, JavaScript, 이미지등의 용량과 속도도 문제가 될것이며, 또한 패킷사용량으로 정액제가 아닌면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려면 정액제가 아주 저렴하게 제공된다면 모를까....

WWDC2007에서 발표된 내용을 보고 기대되는 것은 아이폰이라는 휴대폰에서 웹의 표준기술로 만들어지 웹어플리케이션이 뭔가 또다른 방법으로 최적화되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실행하는 새로운 모델이 될것이라는 것이었다. 실제로 onetripblog에서 만든 간단한 아이폰용 웹어플리케이션이 아이폰에 어떻게 설치되고 실행될지는 소개되어있지 않으니 최종모습이 어떨지는 아직 아무도 모르는거 아닌가.

어떠 모습일지 다음주가 기대된다.


Posted by REDNAKTA
|
WWDC 2007 에서 애플은 아이폰과 함께 사파리 윈도우 버전을 소개했다. 애플은 왜 윈도우 버전의 사파리 브라우저를 발표했을까? 그것은 아이폰의 개발자를 위한 배려(?)로 보인다.

2007년 1월에 스티브잡스는 다음과 같이 말햇다.
“We define everything that is on the phone. You don’t want your phone to be like a PC. The last thing you want is to have loaded three apps on your phone and then you go to make a call and it doesn’t work anymore."
한마디로 아이폰은 전화기이므로 애플이 아니면 PC처럼 제3자의 어플리케이션개발, 배포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거였다. 하지만 2007년 6월에 말을 바꾸었다.
“innovative new way to create apps for iPhone.”
Web 2.0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했으며, 누구나 쉽게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것이 바로 아이폰에 사파리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아이폰이 웹표준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 이라고 하더라도 아이폰을 위해서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파리에서 개발되고 실행되는 것이 무조건 필요하다. 익스플로러에서는 되는데, 파이어폭스에서는 되는데, 아이폰에서는 안되요.... 개발자가 이런얘길하면 사파리에서도 되나요? 이게 애플이 답해줄 수 있는것이다. 아이폰 어플리케이션 SDK는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테스트는 해야한다. 사파리로 하는게 최적아니겠는가?

지금 애플은 브라우저 시장에는 관심이 없을 것이다. 아이폰을 위해서 사파리가 필요한 것이다. 잘되면 나중에는 아이폰때문에 사파리가 브라우저 시장에서 주류가 될지도 모르지만....꿈이겠지요.

iTunes가 아이폰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핵심 역할을 할지도 모르겠다. iTunes에서 mp3, podcast, 아이폰 어플리케이션 모든걸 받는 그런 날이 오지는 않을까 한다.
Posted by REDNAKTA
|
애플에서 아이폰을 처음 공개했을때 이해되지 않는 거중 하나가 있었다. 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애플이 아니면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애플의 통제하에 설치될 수 있다는거. 스티브잡스가 DRM 까지 없애자고 나오는 마당에 그건 왠 쇄국정책인지.

하지만 WWDC 2007 에서 소개된 아이폰에는 그것을 완전히 뒤집는 내용이 있었다. 사파리에서 렌더링되고 웹표준의 기술로 완벽히 만들어지는 웹어플리케이션이 그것이다. 웹기술만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아이폰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3rd party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추가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기존 개념의 단말 native application의 추가가 안됨을 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WWDC 2007 에서 소개된 바에 따르면 웹표준기술 기반의 웹어플리케션은 아이폰에 쉽게 배포되고 업그레이드되어 실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이폰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 개발자는 새로운 플랫폼이나 개발언어를 배울필요도 없는 것이다. 최대한의 개방성과 웹을 연결할 수 있을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의미로 해석된다.

단순히 웹브라우징이 되는 사파리 웹브라우저를 지원한다고만 나왔다면 별볼일 없었을텐데, 사파리기반의 웹어플리케이션을 아이폰에 넣는다는 것은 전혀 다른 새로운 모바일 시장을 열어나가게 될것이다.

요즘 RIA라고 해서 솔루션벤더마다 크로스플랫폼 운운하며 자기만의 솔루션을 들고 나오는 마당에 애플의 이러한 전략은 환영할만하다고 느껴진다. 표준을 지키면서 웹과 모바일을 하나로 엮을 수 있으며, 모바일의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줄거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와 유사한 형태는 노키아 S60에서도 살표볼 수 있다. 이미 지난 봄에 노키아 위젯을 발표하였다. 노키위 위젯은 웹표준 기술만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실행하는 것이다. 노키아도 WebKit을 이용한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되어있으며, 애플의 사파리도 같은 브라우저 엔진을 이용하고 있다.

혹시나 향후에 노키아와 애플이 모바일 웹어플리케이션의 모델을 공유하고 확산시키는건 아닐까? 이렇게 될경우 노키아나 아이폰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모델이 Mobile Java, BREW 형태 보다도 새로운 주류로 대두되지 않을까 한다. 지금까지는 모바일 기술이 따로 있었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만들고 배포하는 방법이 따로 있어왔다. 따로 가는것은 모두가 힘들다. 이제는 웹과 하나가 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이동통신사의 현재 서비스나 플랫폼의 Closed System으로 언제까지 미래를 이끌어나갈 수 있을지 의심된다. 웹뿐만이 아니라 모바일 시장에서도 오픈, 표준, 공유라는 대세는 이미 시작되었다. 과거의 모델에 집착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웹의 정신을 포용하여 새로운 모델이 만들어지길 기대해 본다.
Posted by REDNAKT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