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도대체 MS는 무슨 기술을 갖고 있길래 안드로이드로 엄청난 돈을 버는걸까?

안드로이드는 구글이 오픈소스로 제공하고 있어서 휴대폰 제조사들이 로열티없이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가 공짜가 아니라는 얘기가 현실이 되고 있다. 물론 구글이 돈을 받지는 않는다. 문제는 안드로이드를 구현하는 방식중에서 MS의 특허를 사용한 것들이 많아서 문제다.


MS가 과연 어떤 특허를 가지고 있길래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특허료를 낸다는 뉴스는 많아도 어떤 특허인지 알려주는 기사가 없길래 몇 가지 조사해 보았더니 과거 윈도우 모바일을 하면서 보유하고 있던 기술들이다. 브라우저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 콜 수신한 전화번호로 연락처 갱신하기, 서비스 상태에 따라 알림기능 제공하기 등 당연히 있어야할 기능들이다. 




이 특허는 모바일 단말기가 PC보다는 성능이 느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브라우저가 보여주는 문서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혼합되어 있다. PC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거의 동시에 다운로드 하지만 모바일 단말기는 그러기에는 성능이 너무 떨어졌다. 그래서 텍스트만 먼저 보여주고, 이미지는 X 박스로 영역만 먼저보여준다. 그 다음 이미지 하나씩 다운로드하여 차례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이 반즈앤노블에서 만든 안드로이드 기반 전자책 '누크'에 적용되어서 특허 소송이 걸렸다. 


전화통화 기록으로 부터 연락처를 검색하여 연락처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 


휴대폰 장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상태를 미리 정의해 두었다가, 조건에 맞는 상태가 발견되면 알려주는 방식에 관한 내용이다. 위 2개 특허는 모토로라에게 소송했던 특허중 2개 이다.

지금은 너무 당연해 보이지만 모두 10여년 전후에 나왔던 시기를 감안하면 얼마나 특허가 중요한지 실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MS가 안드로이드는 무료가 아니라고 하던 부분이 다 이런 근거가 있었기 때문이리라.

 
Posted by REDNAKTA
|

이동통신사에게 NFC는 약이 될까 독이 될까?(1) 편에 이어 두번째 글이다.

안드로이드는 구글에서 무료로 공개하였다. 대부분의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아이폰에 대항하는 플랫폼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동통신사도 적극적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NFC 관련된 부분도 안드로이드의 스펙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여기에 이동통신사의 핵심 영역과 겹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스마트폰 이전 시대에는 USIM이나 NFC와 같은 스마트카드 칩이 들어가는 영역은 절대적으로 이동통신사만이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이었다. 스마트폰 시대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스마트폰과 NFC가 만나면서 그러한 권한이 나누어지고 있다.

NFC에는 Secure Element라는 것이 있다. 휴대폰에 신용카드나 멤버십 번호, 쿠폰 등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담아두는 곳이다. Secure Element (이하 SE)에 저장된 개인만의 중요한 정보가 RF 무선기술을 사용하여 휴대폰끼리 또는 가맹점 결제단말기와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문제는 Secure Element가 휴대폰이 주도권을 갖고 있는 USIM 위치할 수 도 있고, 그와 상관없는 휴대폰 메모리 영역에 위치할 수 도 있다는 것이다.
 
 

(그림 출처: Uncovered: The hidden NFC potential of the Google Nexus S and the Nokia C7, 이 기사에는 넥서스S 단말기를 분해해 보니 SE가 USIM/UICC 또는 Embeded Memory 모두 사용하게 될 것이다는 내용이 있음)
 

SE가 USIM 영역에 있게 되면 이동통신사에 관할하에 신용카드사, 멤버십, 쿠폰발행업체등이 제휴사업을 해야만 가능한 모델이 나온다. 하지만 SE가 USIM이 아닌 다른 영역, 즉 이동통신사가 관할하지 않는 메모리 영역에 존재하면, 신용카드사, 멤버십, 쿠폰발행업체가 이동통신사와 제휴할 필요없이 서비스가 가능하다. 만약 구글 안드로이드 폰에서 SE가 USIM이 아닌 곳에 위치할 경우, 그러한 스펙이 오픈되어 사용될 경우 또다른 비즈니스와 서비스가 확산 될 수 있다.

실제 향후 시장이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과거와는 다른 모습으로 NFC를 이용한 시장이 전개되리라는 것은 짐작해 볼 수 있다.



Posted by REDNAKTA
|

1993년, K-DOS 한국형 운영체제 - MS-DOS 

2011년, 국가대표 모바일 OS - 스마트폰 OS (Android, iOS)
이외도 유사 사례는 많다. 


1993년은 운영체제가 도스시절이었다. 윈도우즈가 나오기 직전이고, PC에서 한글을 사용하기도 복잡한 시대였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한글이 표준으로 지원되는 한글운영체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K-DOS였다. DOS호환으로 사실상 DOS와 같은 것이었다. 시장의의 경쟁력도 문제였지만, 도스가 사라지고 곧이어 나타나는 윈도우즈 시대에 사라질 운명으로 태어난 것이 한계였다.


2011년은 스마트폰의 시절이다. 안드로이다, iOS 등 모든 관심이 스마트폰 OS나 생태계로 집중되고 있다. 그 와중에 "삼성 OS를 국가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라는 다소 황당한 뉴스가 눈에 띈다. 또다시 대항마 타령이다. 마사회도 아닌데 대항마 이야기는 항상 흘러나온다.


왜 과거랑 지금이랑 똑같은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까? 핵심이 되는 기술이 외국제품에 의해서 선점당한 후 항상 나오는 비슷한 상황.  그 담에 따라오는 "한국형 OOO" 이야기. 누구나 뻔히 알고 있는 핵심이 되는 그 기술이나 그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세계적인 OOO"로 할 것은 정말 많이 있다. 어떻게 여러가지 사회적인 기반을 조성해주어야 젊은이들과 도전적인 회사들이 "세계적인 OOO"를 만들어 나가는데 도움이 될까를 고민해 주어야 하지 않겠는가.

Posted by REDNAKTA
|
스마트폰에 모바일 결제기 기능을 확장해서 고객과 있는 곳이면 어디서라도 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가 점차로 커지고 있다. 이미 아이폰 주변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는 Square 와 Intuit 가 있다. 최근 뉴스에 의하면 안드로이드 3.0 하니콤에서 결제기능을 제공하는 첫번째 어플리케이션을 Intuit가 내놓는다고 한다. 다음 주에 열리는 Mobile World Congress 에서 공식적인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한다.




  Intuit GoPayment 아이폰 케이스 형태로 만들어져서 일반 신용카드를 결제할 수 있는 기능.

Posted by REDNAKTA
|

- 아이폰은 지금까지 한가지의 규격으로 품질까지 보장되었다.

예를 들면, 화면크기, 프로그램 실행 속도, 동작센서, 멀티터치, 정전식터치 등 단 하나의 단말규격으로 지금까지 5000만대의 아이폰이 판매되었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하드웨어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거의 없다. 어떤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아이디어와 상상력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만 집중하면 된다.

화면크기도 가로 320, 세로 480 픽셀로 한가지만 존재한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유지할 때 중요한 요소들이다.  

 - 안드로이드는 비슷한 규격으로 품질이 다양해지고 있다.

아이폰과 달리 제조사와 이동통신사의 요구를 수용하여 안드로이드 OS라는 것은 동일하지만 조금씩은 다른 것이 있다. 한국어는 서울말을 표준어로 사용하지만, 경상도, 제주도 방언이 있는 것과 같은거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사이즈도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
SKT 모토로이폰의 화면 해상도는 854x480, 
SKT 삼성 갤럭시 800x480,
KT LG전자 KH5200 320x480

단말기의 성능이나 동작 센서 성능에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속도와 미미한 차이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완전히 서로 다른 느낌으로 전달될 수 있다. 개발자가 개발하면서 경험한 느낌과 사용자가 경험하는 느낌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안드로이드는 차별화를 이유로 다양한 스펙이 만들어 질 수록 장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약점이 될 수 있다. 

이제 스마트폰의 진정한 힘은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다. 아이폰은  기획자, 개발자, 사용자가 모두 동일한 경험을 느끼고 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는 그러한 부분에서 서로 다른 길을 갈 수 있다. 개발자가 개발할 당시에는 빠르고, 동작센서도 잘 동작하고 했지만, 고객이 사용하는 폰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드로이드 개발은 아이폰보다 훨씬 많은 노력을 해야할지 모른다. 각 제조사별로, 단말기별로 고유한 특징을 각각 구분하여 개발하고 유지보수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아야 한다.

아이폰은 그러한 문제 없이 지금까지의 휴대폰으로는 그 누구도 제공하지 못했던 동일한 경험을 제공하는 최초의 휴대폰이었던 것이다.

이제 필요한 것은...

최근 통합 앱스토어를 구축한다는 뉴스가 있었다. 물건을 살 수 있는 시장이 통합되면 좋을 수는 있다. 하지만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단말기의 품질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 제조사, 이동통신사를 떠나서 순수하게 안드로이드 단말기만으로 판단했을 때 비슷한 경험을 제공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개발이나 검증, 고객과의 소통에서 원할해 질 것이다.

단말기마다 예외처리 하면서 개발해야하고, 검증도 따로해야 한다면 통합 앱스토어가 뭔 필요가 있을까 한다. 

이런 일도 생기지 않을까?

고객이 뭐가 안된다고 민원이라도 들어오면 
아이폰은 네, 고객님 해결해서 업그레이드에 반영하겠습니다.
안드로이드는 버전이 뭔가요? 제조사는요? 모델번호는요? 아...그거는 원래 그 단말기에 스펙이 틀려서 ~~어쩌구 저쩌구...

단순히 한데 모아놓는 것 보다는 아이폰과 같이 하나의 품질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만들어가야 한다.

위피폰에서 개발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이 무엇이었던가?

아이디어와 컨텐츠를 한번 개발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모든 단말기에서 동일한 품질로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그것이 어려워서 아무나 쉽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을 할 수 없었다. 그런 안좋은 경험은 안드로이드에서 일어나지 않았으면 한다.


Posted by REDNAKTA
|
작년말에 구글에서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을 내놓았다. 개발자 대회가 동시에 개최되어서 전세계 수 많은 개발자들이 새로운 구글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왔을 것이다. 4월 14일 프로그램 제출이 종료되면서 구글에서 발표한 결과를 보니 세계 70여개국에서 1,788건을 제출하였다고 한다.
미국이 1/3을 차지하고, Germany, Japan, China, India, Canada, France, UK 등등의 나라에서 제출하였다고 한다. 과연 한국에서는 얼마나 참여했을까 궁금해진다.

앞으로 모바일 IT강국 한국의 모습은 어떻게 될지 궁금해진다.

모바일 분야에서만큼은 일본과 함께 한국이 모바일사업의 선두로 있었다. 전국민의 활동인구 대부분이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게임부터 금융까지 다양한 서비스가 해외에 사례로 소개되기도 한다. 한국에서 성공했던 컨텐츠가 해외로 수출되기도 하며, 모바일 소액결제도 해외로 진출해 나가고 있다. WIPI라는 한국의 독자적인 플랫폼으로 S/W기술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어왔다. 더구나 삼성전자, LG전자의 휴대폰은 전세계 상위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웹기반에서는 어떨지 모르지만 모바일 분야에서는 타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을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그것이 무너져 내린 느낌이다.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휴대폰은 여전히 잘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이렇다 할만 한게 없다. WIPI라는 VM 플랫폼은 한국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한국의 개발 사례를 가지고 해외에 진출하려고 하면 오히려 장애요인이 된다. 한국에서 개발했던 것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니 경험만 남았지 실체는 새로 시작하는거나 다름없다. 컨텐츠도 그대로 해외에 내놓을 수는 없을것이다. 하드웨어는 세계를 이끄는데, 왜 소프트웨어는 안되는 것인지 아쉽다.

이미 변화는 시작되었다. 개방과 웹이 모바일로.

지금까지 웹하고는 기술이나 사업이나 구분되었던 모바일이 앞으로는 더이상 그럴 수 없을 것이다. 미국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는 한국보다 늦다고 생각했으나 이번 구글 챌리저를 보라.... 한국에서는 얼마나 참여했을까? 물론 양보다는 훌륭한 아이디어와 프로그램이 더 중요하겠지만,,,,누군가 한국의 저력을 보여 주었으면 좋겠다.

Posted by REDNAKT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