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요즘 스마트폰을 주제로 얘기하다보면 구글은 개방형, 애플은 폐쇄형으로 이야기 된다. 종종 세미나 또는 신문에서도 구글 개방형과 애플 폐쇄형을 비교하기도 한다. 그러한 영향인지는 모르나, 자연스럽게 폐쇄형 보다는 개방형이 좋아서 앱스토어나 애플은 뭔가 좋지 않은 거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 경우가 있다. 

과연 애플은 폐쇄형이어서, 개방형보다 안좋은 것인가?
무엇이 개방이고 폐쇄인가? 참여자가 누구냐에 따라서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기에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단말 제조사 기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다. 아이폰은 운영체제는 그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다.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단말 제조사는 오픈소스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훌륭한 운영체제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개방형 시스템의 가장 큰 수혜자이다.

2. 개발자 기준

운영체제를 개선하는 개발자가 아닌이상,  아이디어와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에게는 개방/폐쇄 유무에 상관없이 안드로이드나 아이폰이나 비슷하다. 사실 안드로이드가 오픈소스라고 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일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 반대로 아이폰 운영체제가 폐쇄형이라고 해서 아이디어와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방해가 될만한 것도 별로 없다.

3. 소비자 기준

어플리케이션을 소비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개방형과 폐쇄형의 차이를 구분할 수 없다.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고 이용하는데는 개방형과 폐쇄형의 차이는 큰 의미 없어 보인다. 양질의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있는 시장이 있는냐 없는냐가 중요한 것이다. 

4. 시장 기준
안드로이드 마켓, 앱스토어 모두 개방형이라고 생각한다. 운영하는 기업과 스토어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절차에서 애플 앱스토어는 폐쇄형이라고 얘기할 수 있으나 그것은 좁은 의미에서는 맞지만 큰 의미로 보면 틀려보인다. 이동통신사의 과거 시장모델이야말로 폐쇄형 이었다.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도 이동통신사가 수익이 없을 거라고 채택하지 않으면 서비스할 수 없는 구조. 고객과 개발자가 직접 만날 수 없는 그런 시장이었다. 이동통신사가 고객과 개발자 중간에서 큰 통제를 하고 있는 폐쇄형 구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는 모두 개발자와 고객이 직접 만나는 자유로운 개방형 시장이다. 바로 이러한 개방형 시장구조가 지금의 아이폰을 있게한 것이며, 스마트폰이 성장할 수 있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G마켓과 같은 오픈마켓이 고객과 판매자를 직접 연결해 주면서 큰 성장을 이룬것과 차이가 없어 보인다. G마켓의 소스가 오픈소스가 아니므로 폐쇄형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어떤 점을 기준으로 삼는냐에 따라서 오픈소스와 아닌 것의 차이가 나는 점을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결국 모바일 업계를 개방형 시장구조로 이끌어 온 것은 애플이었다는 얘기가 된다. 운영체제나 아이폰소스나 개발규격은 폐쇄형 정책을 내세우는 애플이지만 시장은 오픈 시장으로 만든것이다. 애플=폐쇄형이라는 하나의 잣대만로 보지 않는 것이 올바른 시각이라 생각든다.

Posted by REDNAKTA
|